2021

자율협력주행 도로교통 체계
통합보안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술 개발
통합보안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술 개발
- 도로교통체계 인프라 보안 이상(Misbehavior) 행위 시나리오 정의 및 탐지 알고리즘 설계
- Embedded Security Lab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 2020.01 ~ 2021.12

함수암호 원천기술 연구
-
함수암호/서명 기법의 설계 및 안전성 분석 원천기술 확보, 함수암호 구현과 응용 확장기술 확보
- 함수암호 기법 설계 및 안전성 분석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
- 다양한 응용 환경에 함수암호를 적용하기 위한 실용화 기술 개발
- 함수암호의 수학적 기반 구조와 안전성 분석에 대한 원천기술 연구
- 안전성 증명이 가능한 새로운 수학적 기반 구조 연구
- 함수서명의 기법 설계 및 안전성 분석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
- 실용화를 위한 구현기술 및 응용기술 연구
- Cryptographic Protocol Lab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 2016.11.01 ~ 2021.07.31
CAN 통신 침입탐지 시스템(IDS) 신규 탐지 기법 개발
- 차량 내부 네트워크(CAN)의 안전성 및 보안성 향상을 위해 신규 IDS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차량에 탑재가능한 IDS PoC 개발을 목표로 함
- Embedded Security Lab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2020.05 ~ 2021.04


제어흐름 무결성 검증 연구
-
소프트웨어의 제어흐름 이동이 정상 CFG(Control-Flow Graph)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기법
- 보안성과 실용성을 모두 충족하는 제어흐름 무결성 검증 기법 설계 및 개발
- 적용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 컴파일러 제작 및 실용화 기술 연구
- Embedded Security Lab
- 한국연구재단(NRF)
- 2017.07 ~ 2021.02
2020
IoT(Internet of Things)관점에서의 차량 보안
-
Connected car 환경에서 차량을 위한 보안 기술
- Micro-view 관점에서 개발된 기존 산출물을 고도화하고 사업화/국제표준화 수행
- Macro-view 관점에서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개발
- 자동차의 모듈형 부품 인증 또는 식별 연구
- 차량과 스마트 디바이스 간 안전한 통신을 위한 보안 기술 개발
- Privacy-preserving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암호 기법 개발
- Embeddeb Security Lab
- 2017.12 ~ 2020.12
- Samsung Electronics


Biometrics-based Authentication
- In this project, we address usable and secure authentication technique for wearable devices. Because wearable devices always can sense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biometrics-based authentication is the most promising technique for securing communication in body area networks.
- Embedded Security Lab
- Samsung Electronics
- 2015.07 ~ 2020.06
2019
현대자동차 미래기술 육성과제
(Lightweight Automotive IDS 기술 개발)
- 차량 환경에 실시간으로 적용가능한 lightweight IDS 기술 개발
- Embedded Security Lab
- Hyundai Motor Group
- 2018.09 ~ 2019.02


차량 공격 탐지 기술 개발 및 공격 패킷 분석
- Suspension, DoS, Fabrication, Masquerade, Bus-off attack을 탐지할 수 있는 Automotive IDS 기술 개발 및 공격유형별 검증을 위한 공격 데이터셋 제작
- Embedded Security Lab
- Samsung Electronics
- 2018.07 ~ 2019.06
자율주행자동차 내부통신 보안 안전성 평가 기술 연구
및 평가 테스트베드 구축
-
자동차 내부통신 보안 안전성 평가기술 연구
- 사이버 공격 유형 및 위험 심각도 평가방법 연구
- 평가기술 개발 및 피해 최소화 방안 연구
-
자동차 내부통신 보안 안전성 평가기반 구축
- 사이버 공격 유형별 대표 위협사례 구현
- 시험평가환경 구축 및 평가시나리오 개발
- 제도화 방안 및 국제 조화 대응방안 연구
- Embedded Security Lab & Escrypt GmbH & KATECH & DBDC Lab(ajou Univ) & KATRI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 2016.09 ~ 2019.12


암호 소프트웨어 안전성 연구
- In-Vehicle 네트워크 연동을 통해 안전성 및 보안성을 보장하는 In-Time 빅데이터 수집/분석 기반의 자율주행 스마트자동차용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개발소프트웨어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난독화 기법이 악성코드를 보호하는데 악용되면서 악성코드의 분석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상용 난독화 도구를 사용하여 악성코드에 다양한 난독화 기법을 중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우선 악성코드에 적용된 난독화 기법을 식별하고 이를 역난독화하여 악성코드를 분석하기 용이한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Embedded Security Lab
- 한국 연구재단
- 2014.07 ~ 2019.06
2018
자율주행 스마트 자동차용 이상징후 탐지 핵심기술 개발
- In-Vehicle 네트워크 연동을 통해 안전성 및 보안성을 보장하는 In-Time 빅데이터 수집/분석 기반의 자율주행 스마트자동차용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개발
-
Embedded Security & SANE Lab
& Hacking and Countermeasure Research Lab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 2016.04 ~ 2018.12


Binary Level 난독화/보호 기술 연구
-
Binary Level 난독화 기술이 적용된 SW의 분석을 지연하는 기술 연구
- Binary 난독화 기법의 하나로써, Code Virtualization 기법을 활용함
-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Application 계층에서 활용 가능한 가상화 난독화 분석 지연방안 연구
- Embedded Security Lab
- Samsung Electronics
- 2018.04 ~ 2018.12